(도서) "NoSQL 철저 입문" - Column-Family DB, Graph DB

시작하며 저번 편에서는 Key-Value DB와 Document DB를 정리해봤고 이번 편에서는 Column Family DB와 GraphDB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 Column Family DB나 GraphDB는 실제로 사용해본 적이 한 번도 없어서 어떤 녀석들인지 자세히는 모르지만 책 내용 위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Column-Family DB Column-Family DB는 한 Row에 무수히 많은 Column을 Schema가 강제되지 않은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NoSQL의 한 종류이다. Wide column DB, Wide column store, Columnar DB 등의 다른 다양한 명칭들도 존재는 하지만 책에서는 좀 더 여러 컬럼을 묶어서 생각할 수 있는 점이 강조되는 Colum-Family DB라는 용어를 이용했다고 한다. ...

3월 17, 2022 · 5 분

(도서) "NoSQL 철저 입문" - Key-Value 데이터베이스, 문서 데이터베이스

(도서) “NoSQL 철저 입문” - Key-Value DB, Document DB 시작하며 앞선 글에서는 “NoSQL 철저 입문”이라는 도서에 대한 총평과 NoSQL 데이터베이스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글에서는 NoSQL들 중에서도 Key-Value DB와 Document DB이 특히나 서로 유사한 형태를 띄는 것 같아 묶어서 정리해보려한다. 추가적으로 각자의 고유한 특징은 아니더라도 공통적 특징일 수 있는 Master - Slave(read replica) 구조나 Partitioning, Sharding 등등에 대해서도 정리할 예정이다. Key-Value Database 키와 값 뿐인 가장 간단한 형태의 NoSQL 종류이다. 아주 단순한 조회만이 지원된다. 키를 통해서만 조회가 가능하다. 키를 알고 있다면 데이터를 바로 찾을 수 있지만 키가 없다면 풀서치를 해야할 수 있다. Key-Value Database는 간단한 형태의 DB이기 때문에 테이블이나 그래프로 복잡한 관계를 나타내려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단순 저장과 키를 바탕으로한 조회로 충분한 경우에 가볍게 사용하기 좋다. ...

3월 12, 2022 · 7 분

(도서) "NoSQL 철저 입문" 후기 및 NoSQL의 공통적 특징

책을 읽게 된 계기 당근마켓 플랫폼 팀의 서버 엔지니어로 지원하고 면접을 보면서 저장소에 관련한 질문을 많이 받았었다. 저장소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나 다양한 NoSQL 데이터베이스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많은 질문들이 나왔고, 당시의 나는 사실 데이터베이스 쪽 지식은 거의 전무했던 것 같아 제대로 대답을 못한 게 많았던 것 같다. 인턴 근무를 하면서는 내가 익숙했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NoSQL 특히 Redis나 DynamoDB 등을 주로 사용하는 모습도 많이 보게 되어 NoSQL에 대해 관심이 가게 되었다. ...

3월 11, 2022 · 5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