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EMU로 Ubuntu Server VM 생성하기

시작하며 직접 구축하는 홈서버에 VM도 추가하고 싶어졌고 이전 글[1]과 마찬가지로 CLI로 VM을 띄워보고 싶었다. 이전 글에서는 VirtualBox를 이용했지만 이번에는 qemu라는 도구를 이용해 VM을 만들어보고자한다. qemu는 VM을 띄우는 도구들 중에서도 꽤나 로우한 레벨에 있으면서 손쉽게 다양한 아키텍쳐를 가상화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CLI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에 VM을 손쉽게 띄워보고 싶은 나 같은 경우에 적합하다. 실습 환경 호스트 환경은 아래와 같다. 항목 정보 CPU amd64, 8 Core RAM 16GB Disk 256GB OS Ubuntu server 22.04 구성하고자하는 VM은 다음과 같다. ...

12월 8, 2022 · 11 분

VBoxManage(VirtualBox CLI)로 VM 생성하기

시작하며 홈서버를 직접 구성해보면서 실제 기기 개수가 많지 않아 좀 아쉬웠는데 최근에는 이를 VM으로 충당해볼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갖고 있는 랩탑 하나에 여러 대의 VM을 띄우면 홈서버에서 좀 더 많은 수의 노드가 있는 것처럼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VM을 띄워보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단순히 GUI로 VM을 띄우는 것이 아니라 CLI로 VM을 띄우면서 LV(Logical Volume)을 이용해봤다. 해당 내용을 까먹을까봐 이 글을 통해 한 번 정리해본다. 실습 환경 호스트 환경은 아래와 같다. ...

12월 6, 2022 · 9 분

[반려 서버 키우기 사전 작업] Core DNS를 홈랩의 커스텀 DNS 서버로 이용하기

시작하며 “반려 서버 키우기”라는 건전한 취미 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그 사전 작업 중 하나로 Core DNS를 찍먹해보려한다. 현재 나의 홈랩 상황은 다음과 같다. (서버 및 장난감) 라즈베리파이 4대 (서버 및 장난감) 랩탑 1대 + 그 위의 VM 3대 (서버 관리용) PC 2대 핸드폰 2개 즉 나의 반려 서버는 8대, 반려 서버에 접속하는 장비는 4대(PC + 핸드폰) 정도라고 볼 수 있다. 기존에는 매번 사용하는 PC의 /etc/hosts 를 편집해서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곤 했는데 한 대의 PC로만 접속하는 게 아니라 여러 장비로 서버에 접속하게 될 수 있다보니 매번 /etc/hosts를 편집하는 것이 그닥 유쾌하진 않았고, 심지어 모바일에서는 /etc/hosts 를 제어할 수 없어 IP로 직접 접근해야했다. ...

11월 30, 2022 · 7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