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ang을 공부하면서 너무나도 헷갈렸던 Concurrency에 대해 Parallelism과 비교하며 정리했습니다.
추상적인 내용보단 예시와 프로그램을 통한 벤치마킹을 통해 어떤 경우를 동시성이라고 하는지 어떤 경우에 동시성을 도입하면 좋은지
반대로 어떤 경우를 병렬성이라고 하는지 어떤 경우에 병렬성을 도입하면 좋은지 적어봤습니다.
자세한 의미는 모른 채 들어보기만 했던 소켓이란 녀석! 어떤 종류의 소켓이 존재하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성능은 어떠한지 실제 Go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보고 벤치마크해보며 비교해봤습니다.
Naver Deview 2020에서 C++에서 Golang으로 넘어간 이야기를 다룬 발표 영상에 대해 리뷰해보며 제 생각을 적어봤습니다.
주로 협업에서의 생산성이나 목표 설정의 중요성 등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Naver에서도 Golang을 점차 사용해나가는 것 같아
반가운 마음도 들었습니다.
Go로 이미지 프로세싱 서버를 만들면서 Memory Leak 이슈를 맞이했고
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했던 삽질과 그 결과에 대한 썰을 적어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메가존 클라우드에서 데브옵스 인턴으로 근무를 하게되었던 박진수입니다.
너무 좋은 팀원들과 많은 경험을 하며 단시간에 성장할 수 있었고, 일하는 동안 매 순간 순간이 너무
행복했었기에 이렇게 인턴 후기를 작성해봅니다.
Terraform을 이용해 구축한 인프라. 그 위에 Jenkins, Gitlab, Spinnaker 그 외 자체 마이크로 서비스
등등을 배포한 이야기
Github Action과 Spinnaker을 이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기
메가존 클라우드의 클라우드 원 팀에서 일하면서 Argo의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Poc(개념 증명)을
진행했던 이야기를 적어보았습니다.
SpaceONE Helm Chart를 개발했던 경험